일본어로 '나'는 어떻게 표현할까요? 한국어의 경우 본인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'나'와 공손한 표현인 '저' 정도의 표현이 있지만, 일본어에서는 여러가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다채로운 '나'에 대한 표현이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私(わたし) '와타시'를 포함하여, 남자들이 '나'를 표현할 때 쓰는 표현과, 여성들이 사용하는 표현, 그리고 기타 알아두면 좋은 '나'에 대한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참고로 '나'를 표현하는 말은 일본 문법용어로 一人称(いちにんしょう) '1인칭'이라고 합니다. 여러분의 비밀스러운 일본어 선생님인 저 '비밀쌤'과 함께 출발!
私(わたし) '와타시'
나를 공손하게 표현하는 말입니다. 한국어로 표현한다면 '저'로 바꿀 수 있습니다. 일본어 초심자라면 간단하게 이 표현만 기억하면 됩니다. 남성/여성 가리지 않고 공손하게 자신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.
다만, 남성의 경우는 친구나 가족같은 편한시이에서는 '와타시' 보다는 다른 말을 주로 사용하지만, 여성들은 공손하게 말할 때나 친구나 가족들에게 편하게 말할 때도 모두 '와타시'를 사용합니다. 때문에 이 단어 속에는 공손함과 약간의 여성성도 함께 포함된 단어임을 기억해 주세요!
私(わたし)は中村(なかむら)です。
저는 나카무라 입니다.
あたし '아타시'
위에 언급한 것 처럼, 여성들은 자신을 공손하게 표현할 때나 친구들에게 말할 때도 모두 私 '와타시'를 사용합니다.
あたし '아타시'는 私에서 발음이 변형된 말로, 여성들이 자신을 좀 더 귀엽게 표현할 때 '아타시'라고 말합니다. 의미는 같지만 '와타시'에 귀여움과 친근함이 추가된 표현으로, 친구 같은 편한 사이에서 쓰기 좋으나, 공손함이 필요한 자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.
여성들만 사용하는 말이므로, 남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 정체성에 대해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. (이 놈 혹시 게이인가,,)
あたしね、今日(きょう)遅刻(ちこく)したの。
나 말이야, 오늘 지각했어.
私(わたくし) '와타쿠시'
와타시도 '저'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충분히 공손한 말이지만, '와타쿠시'라고 한다면 와타시 보다 더 정중한 말이 됩니다. 한자는 わたし와 동일하게 私로 표기합니다. 사실 '와타시'는 이 '와타쿠시'에서 온 말이며, く(쿠) 발음이 탈락되어 '와타시'가 되었습니다.
그냥 私 '와타시' 라고 말해도 공손함을 표현할 수 있지만, わたし 자체가 주는 여성적인 느낌과, 발음하기에 따라서 '아타시'로 잘못 들릴 수 있는 소지가 있기 때문에, 작정하고 공손하게 말해야 하는 경우라면 개인적으로 わたくし '와타쿠시'라고 말하는 것을 선호합니다.
'와타시'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상대방을 향한 공손함을 표현할 수도 있겠으나, 작정하고 '와타쿠시'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, 듣는 사람에게 더욱 더 예의를 갖추려는 자세를 보여줄 수 있어, 격식을 차리는 자리라면 '와타쿠시'를 사용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드립니다.
私(わたくし)中村と申(もう)します。
저는 나카무라라고 합니다.
俺 (おれ) '오레'
일본 남성들이 가장 많이 쓰는 말입니다. 한국어 '나'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. 한국어와 동일하게 '나'는 반말투 이기 때문에 공손한 느낌은 없습니다. 그래서 친구나 가족에게 쓰기 좋은 말입니다.
한국어와 다른 점은 '오레'는 남성들만 쓰는 말이고 여성들은 쓰지 않습니다. 여성들은 오직 私 '와타시'만 씁니다. 혹여나 자기를 '오레'라고 칭하는 여성이 있다면 남성미를 강조하고 싶은 보이쉬 스타일의 여성일 가능성이 크겠네요. (+양아chi 갬성,,)
일본에서 한 때 사회문제가 되었던 '오레오레'사기라는 게 있었습니다. 가족에게나 집에 긴급하게 전화를 해서, 큰일이 난 것 처럼 속여서 돈을 뜯어내는 일종의 보이스 피싱입니다. 아들이 집에서 편하게 자기를 '오레'라고 표현하기 때문에, 俺(おれ)だよ、俺(おれ)! '나라고 나' 로 시작하는 사기였기 때문에 '오레오레' 사기라고 불렸습니다.
俺(おれ)はさ、カワイイ系(けい)がタイプなんだよな。
난 말이야, 귀여운 스타일이 좋단말이지
俺様(おれさま) '오레사마'
'나'라고 편하게 말하는 것을 뛰어 넘어 '나님'이라고 스스로를 높이는 조금 웃기는 표현입니다. 뭔가 다른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을 때, 친구들끼리 농담조로 스스로를 높이며 으스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드라마나 영화에서 종종 사용됩니다.
俺様(おれさま)の言(い)う通(とお)りにしろ!
내가 시키는대로 해!
僕(ぼく) '보쿠'
'보쿠'는 흔히 '오레'보다는 공손하지만 '와타시'보다는 덜 공손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. 그런데, 어느 때 편하게 '오레'라고 말해야 하고, 어떨 때 덜 공손하게 '보쿠'라고 말할 수 있는지 애매해집니다.
사실 '오레'라는 말이 다소 예의없게 들릴 수 있지만, 워낙 남자들이 일상적으로 본인을 지칭하는 말로 많이 쓰는지라, 왠만하면 관용적으로 허용되는 느낌입니다. 일본 거래선의 회사 사람들끼리 얘기하는 것을 들어보면 젊은 남자사원들도 과장/부장님과 얘기할 때 본인을 '오레'라고 말하는 것을 많이 목격하였습니다. 물론 서로간의 친밀감이 확보된 상황 한정이겠지만요.
반대로, '보쿠'라는 말은 유치원에 다닐 법한 남자아이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, 성인 남자가 이 단어를 쓰면 남성적이지 못하거나 유약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. 애니메이션에서도 섬세하거나 성실한 (真面目 마지메) 타입의 캐릭터가 자신을 칭할 때 주로 '보쿠'를 사용합니다. '오레'가 주는 거칠고 남성적인 이미지와 상반되지요. 친한 사이에서는 '오레'를, 예의를 갖춘다면 '와타시'나 '와타쿠시'를 사용하는게 좋은데 '보쿠'는 약간 회색지대의 느낌이라 개인적으로는 선호하지 않는 단어입니다. 참고로, 남자 아이를 부를 때 '보쿠'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ぼく、いくつ?
(남자 어린아이에게) 꼬마야 몇살?
わし '와시'
일본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이 많은 할아버지가 본인을 지칭할 때 와시라는 말을 종종 사용합니다. 젊은 사람이 노인을 연기할 때 이 '와시'라는 말이 들리면,, '아 노인연기를 하는구나'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わしも昔(むかし)はそうじゃった。
(노인이 과거를 회상하며) 나도 옛날엔 그랬었지.
(※ じゃ=だ, じゃった=だった)
拙者(せっしゃ) '셋샤'
일본 시대극에서 무사(사무라이)가 본인을 지칭할 때 '셋샤' 라는 말을 씁니다. 자신을 '서투르고 미숙한 사람'이라고 낮추어 부르는 말입니다. 한국어 '소인'으로 바꿔쓸 수 있습니다. 일상생활에서 쓰는 사람은 본 적이 없고, 혹여나 '셋샤'라는 말을 듣는 순간 '아 시대극 컨셉이구나'라고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. 유명 애니인 ケロロ軍曹 '케로로중사'에 등장하는 캐릭터 ドロロ'도로로'가 자신을 얘기할 때 '셋샤'라는 말을 씁니다.
拙者(せっしゃ)は水戸藩(みとはん)の者(もの)でござる
소인은 미토 번 사람이오. (※미토 번 : 현재의 이바라키 현)
마치며
오늘은 일본어에서 자기를 지칭할 때 쓰는 1인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흔히 알고 있던 私'와타시'를 넘어서, 본인을 지칭하는 여러가지 말이 있다는 것을 알면 여러 상황에서 일본어의 이해 폭이 보다 더 넓어질 것입니다.
from 비밀쌤
'일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어 문법 から 카라 ので 노데 뉘앙스 차이 비교 (0) | 2025.08.22 |
---|---|
일본어 인사, 알고 쓰면 더 자연스럽다!|시간대·친구끼리·어원까지 (0) | 2025.08.19 |
일본어 엄마·아빠 호칭 완전판|오또상? 오야지? (0) | 2025.08.16 |
일본어, 이 두 마디면 된다?!|‘どうも’와 ‘どうぞ’의 진짜 쓰임새 (0) | 2025.08.15 |
일본어 잡설|‘런닝’은 어쩌다 ‘난닝구’가 되었나 (0) | 2025.08.12 |